고객센타 공지&뉴스
신.재생에너지관련 뉴스와 공지사항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삼성전자 ‘RE100’ 가입, 비상걸린 산업계
작성자
admin
작성일
2022-09-30 09:33
조회
133
삼성전자가 글로벌 재생에너지 프로젝트인 ‘RE100’에 가입하면서 산업계에 비상이 걸렸다. RE100은 2050년까지 기업이 사용하는 전력의 100%를 신재생에너지로 충당하는 캠페인이다.
28일 재계에 따르면 국내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이 적고, 관련 인프라가 부족해 국내 최대 기업인 삼성전자가 RE100에 나서면 파장이 만만치 않을 거란 우려가 나온다.

삼성전자는 그동안 친환경 경영을 주도해왔지만 2020년대 이후 본격화한 글로벌 탄소 중립 움직임에는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여왔다. 미국·유럽 등 고객사 요구에 맞추기 위해선 RE100 가입이 필수 선택이었으나 국내 신재생에너지 인프라 부족이 발목을 잡았다는 후문이다.
익명을 요구한 에너지 전문가는 “삼성전자가 준비를 마치고도 RE100 가입 시기를 저울질했던 것으로 안다”며 “특히 새 정부가 2030년 신재생에너지 목표를 기존 30.2%에서 21.5%로 하향 조정하면서 고민이 깊었을 것”이라고 전했다.
실제로 삼성전자는 미국·유럽·중국 사업장에서 재생에너지 사용률 100%를 달성했지만, 유독 국내 사업장에서는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에너지 컨설팅업체 ‘에너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국내 전기 생산량에서 신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8.6%에 그쳤다.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0.1%)·쿠웨이트(0.2%)·알제리(0.8%)·이란(2.3%) 등이 최하위권이고, 그다음이 대만(6.5%)과 한국이다.
지난해 국내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은 4만3096GWh(기가와트시)인데, 삼성전자·SK하이닉스·현대제철 등 산업용 전력 사용 상위 10개 기업의 사용량에 미치지 못한다. 〈그래픽 참조〉
RE100 이행 방법으로는 ▶신재생에너지 직접 생산 ▶녹색 프리미엄(전기료에 추가 요금을 내면 재생에너지 사용으로 간주)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구매 ▶재생에너지 발전 사업자가 생산한 전력을 전기 소비자에게 직접 파는 전력거래계약(PPA) 등이 있다. 전문가들은 삼성전자가 RE100 달성을 위해 국내에서 현실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은 결국 REC나 녹색 프리미엄 구매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삼성전자 국내 사업장은 녹색 프리미엄 제도를 통해 490GWh를 구매했는데, 국내 사업장에서 사용한 전력량(1만8412GWh)의 2.6%에 불과하다.
RE100을 추진 중인 대기업 관계자는 28일 통화에서 “삼성전자가 국내 신재생에너지 사용량을 1%만 늘려도 REC 가격이 더 올라 산업계 전반에 혼란이 발생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지난해 1 REC 평균가는 3만4667원이었지만 올 1월 4만6211원, 지난달엔 6만2160원까지 치솟았다. 여기에 삼성전자 등이 REC 구매에 가세하게 되면 가격이 더 오를 것이라는 게 전문가 예상이다.
이근대 에너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미국·유럽의 경우 화력 발전과 신재생에너지 발전 원가가 같아지는 시점을 이미 넘어서 신재생에너지 의무 비율을 늘려도 부담이 거의 없다”며 “한국과 일본은 여건이 좋지 않은데 따라가지 않을 수 없는 상황으로, 산업 경쟁력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전력도매가격(SMP) 상한제까지 시행되면 신재생에너지 시장이 지금보다 더 위축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정부는 한전의 전력 구매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발전사 판매가 인상 폭에 상한을 두는 SMP 상한제를 추진 중이다.
PPA도 한전이 사실상 국내 전력망을 독점하고 있는데, 신재생에너지 구매 때 한전이 전력망 사용료 등 부대비용을 받아가 이를 더하면 요금이 두 배 가까이 뛴다.
김경식 고철연구소장은 “한전이 독점하고 있는 송·배전망을 개방하고, 정부가 소매 경쟁을 허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민간 사업자 간 경쟁이 가능해지면 ESS(에너지저장시스템) 관련 투자도 늘고 기술도 향상될 것”이라고 짚었다.
자료출처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05440#home
#태양광 #태양광발전사업 #태양광지원사업 #건물지원사업 #축사지원사업 #축사태양광 #건물태양광 #건물지원태양광 # 금융지원사업 #일반전기태양광 #의무화태양광 #양주태양광 #포천태양광 #파주태양광 #가평태양광 #강원태양광 #서울태양광 #주택태양광 #농촌태양광 #참여기업 #태양광참여기업 #태양광임대사업 #주차장태양광 # 녹색인증 태양광 #태양광패널 #태양광인버터 #한화모듈 #현대모듈 #동양인버터
28일 재계에 따르면 국내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이 적고, 관련 인프라가 부족해 국내 최대 기업인 삼성전자가 RE100에 나서면 파장이 만만치 않을 거란 우려가 나온다.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삼성전자는 그동안 친환경 경영을 주도해왔지만 2020년대 이후 본격화한 글로벌 탄소 중립 움직임에는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여왔다. 미국·유럽 등 고객사 요구에 맞추기 위해선 RE100 가입이 필수 선택이었으나 국내 신재생에너지 인프라 부족이 발목을 잡았다는 후문이다.
익명을 요구한 에너지 전문가는 “삼성전자가 준비를 마치고도 RE100 가입 시기를 저울질했던 것으로 안다”며 “특히 새 정부가 2030년 신재생에너지 목표를 기존 30.2%에서 21.5%로 하향 조정하면서 고민이 깊었을 것”이라고 전했다.
실제로 삼성전자는 미국·유럽·중국 사업장에서 재생에너지 사용률 100%를 달성했지만, 유독 국내 사업장에서는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그래픽=신재민 기자 shin.jaemin@joongang.co.kr
에너지 컨설팅업체 ‘에너데이터’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국내 전기 생산량에서 신재생에너지가 차지하는 비중은 8.6%에 그쳤다. 산유국인 사우디아라비아(0.1%)·쿠웨이트(0.2%)·알제리(0.8%)·이란(2.3%) 등이 최하위권이고, 그다음이 대만(6.5%)과 한국이다.
지난해 국내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은 4만3096GWh(기가와트시)인데, 삼성전자·SK하이닉스·현대제철 등 산업용 전력 사용 상위 10개 기업의 사용량에 미치지 못한다. 〈그래픽 참조〉
RE100 이행 방법으로는 ▶신재생에너지 직접 생산 ▶녹색 프리미엄(전기료에 추가 요금을 내면 재생에너지 사용으로 간주)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REC) 구매 ▶재생에너지 발전 사업자가 생산한 전력을 전기 소비자에게 직접 파는 전력거래계약(PPA) 등이 있다. 전문가들은 삼성전자가 RE100 달성을 위해 국내에서 현실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은 결국 REC나 녹색 프리미엄 구매가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로 지난해 삼성전자 국내 사업장은 녹색 프리미엄 제도를 통해 490GWh를 구매했는데, 국내 사업장에서 사용한 전력량(1만8412GWh)의 2.6%에 불과하다.
RE100을 추진 중인 대기업 관계자는 28일 통화에서 “삼성전자가 국내 신재생에너지 사용량을 1%만 늘려도 REC 가격이 더 올라 산업계 전반에 혼란이 발생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지난해 1 REC 평균가는 3만4667원이었지만 올 1월 4만6211원, 지난달엔 6만2160원까지 치솟았다. 여기에 삼성전자 등이 REC 구매에 가세하게 되면 가격이 더 오를 것이라는 게 전문가 예상이다.
이근대 에너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미국·유럽의 경우 화력 발전과 신재생에너지 발전 원가가 같아지는 시점을 이미 넘어서 신재생에너지 의무 비율을 늘려도 부담이 거의 없다”며 “한국과 일본은 여건이 좋지 않은데 따라가지 않을 수 없는 상황으로, 산업 경쟁력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전력도매가격(SMP) 상한제까지 시행되면 신재생에너지 시장이 지금보다 더 위축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정부는 한전의 전력 구매비용 부담 완화를 위해 발전사 판매가 인상 폭에 상한을 두는 SMP 상한제를 추진 중이다.
PPA도 한전이 사실상 국내 전력망을 독점하고 있는데, 신재생에너지 구매 때 한전이 전력망 사용료 등 부대비용을 받아가 이를 더하면 요금이 두 배 가까이 뛴다.
김경식 고철연구소장은 “한전이 독점하고 있는 송·배전망을 개방하고, 정부가 소매 경쟁을 허가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민간 사업자 간 경쟁이 가능해지면 ESS(에너지저장시스템) 관련 투자도 늘고 기술도 향상될 것”이라고 짚었다.
자료출처 :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105440#home
#태양광 #태양광발전사업 #태양광지원사업 #건물지원사업 #축사지원사업 #축사태양광 #건물태양광 #건물지원태양광 # 금융지원사업 #일반전기태양광 #의무화태양광 #양주태양광 #포천태양광 #파주태양광 #가평태양광 #강원태양광 #서울태양광 #주택태양광 #농촌태양광 #참여기업 #태양광참여기업 #태양광임대사업 #주차장태양광 # 녹색인증 태양광 #태양광패널 #태양광인버터 #한화모듈 #현대모듈 #동양인버터
전체 57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공지사항 |
홈페이지방문을 환영합니다.
admin
|
2022.08.13
|
추천 0
|
조회 150
|
admin | 2022.08.13 | 0 | 150 |
56 |
[안내] 2022년도 신재생에너지 설비 A/S전담업체 선정 결과 안내
admin
|
2023.01.06
|
추천 0
|
조회 21
|
admin | 2023.01.06 | 0 | 21 |
55 |
[안내] 신재생에너지 금융지원사업 2023년 1/4분기 대출금리 공지
admin
|
2023.01.06
|
추천 0
|
조회 22
|
admin | 2023.01.06 | 0 | 22 |
54 |
전력거래가격 상한에 관한 고시
admin
|
2023.01.06
|
추천 0
|
조회 19
|
admin | 2023.01.06 | 0 | 19 |
53 |
[공고] '23년 상반기 소형태양광 고정가격계약 매입 공고
admin
|
2023.01.06
|
추천 0
|
조회 22
|
admin | 2023.01.06 | 0 | 22 |
52 |
한화큐셀, EU 차세대 태양광 셀 양산화 프로젝트 참여
admin
|
2022.11.28
|
추천 0
|
조회 61
|
admin | 2022.11.28 | 0 | 61 |
51 |
RE100 시대에 맞는 RPS 개편 토론회
admin
|
2022.11.28
|
추천 0
|
조회 55
|
admin | 2022.11.28 | 0 | 55 |
50 |
태양광업계 "SMP 상한제 중재안 수용해 달라"
admin
|
2022.11.28
|
추천 0
|
조회 49
|
admin | 2022.11.28 | 0 | 49 |
49 |
전기설비 검사 및 점검의 방법·절차 고시 개정안 행정예고
admin
|
2022.11.22
|
추천 0
|
조회 59
|
admin | 2022.11.22 | 0 | 59 |
48 |
글로벌 태양광 시장, 고속 성장 중…지난해 신규 설치용량 174GW 기록
admin
|
2022.11.17
|
추천 0
|
조회 65
|
admin | 2022.11.17 | 0 | 65 |
47 |
SMP 상한제서 100kW 미만 태양광 빠진다…상한가격도 일부 인상
admin
|
2022.11.17
|
추천 0
|
조회 60
|
admin | 2022.11.17 | 0 | 60 |

공사분야&면허
- 한국에너지공단 참여기업[태양광분야]
- 한국신재생에너지협회 인적자원개발센터 협약기업
- 한국산업단지공단장 전동기 및 발전기 제조 공장 등록
- ISO9001/품질경영체제 인증
- ISO14001/환경경영체제 인증
- 전기공사업
- 한국전력공사 지중배전 전문회사
- 종합건설업
- 대한전문건설협회 회원
- 전문소방시설공사업
- 정보통신공사업
- 금속 구조물 창호, 온실 공사업
0
Projects
0
Employees
0
Clients
0
Awa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