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센타 공지&뉴스
신.재생에너지관련 뉴스와 공지사항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재생에너지 비중 고작 0.02%? 사실과 달라
작성자
admin
작성일
2022-09-30 07:01
조회
122
산업통상자원부는 “‘국내 재생에너지 비중이 고작 0.02%’로 ‘기업들이 RE100 하고 싶어도 힘든 현실’이라는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고 밝혔습니다.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기사 내용]
□ 국내 재생에너지 비중 고작 0.02%
ㅇ 최근 RE100 가입한 삼성전자 ‘20년 전력사용량은 26.95TWh로 같은 해 국내 태양광·풍력 발전량 19.5TWh 보다 많아 재생에너지 부족
□ 녹색프리미엄은 해외에서 RE100 이행수단으로 인정되지 않음
[산업부 입장]
□ “국내 재생에너지 비중이 고작 0.02%”라는 보도는 사실관계가 다르며 오해의 소지가 있음
ㅇ ‘21년 국내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은 6.3%*임
* 한국전력 전력통계 기준(home.kepco.co.kr)
□ 삼성전자의 ’20년 전력사용량(26.95TWh)이 국내 태양광·풍력 발전량(19.5TWh) 보다 많다는 주장도 기본적인 사실관계가 다름
ㅇ 언급된 삼성전자 전력사용량 26.95TWh는 전세계 사업장 전력 사용량으로 추정되며, 국내 총 전력사용량(‘21)은 20TWh 미만임
ㅇ 한편, '21년 국내 태양광·풍력 발전량은 25TWh로 삼성전자의 국내 전력사용량을 초과하고 있음
ㅇ 또한, RE100은 태양광·풍력 외에도 수력·바이오 등을 모두 재생에너지원으로 인정하고 있어 태양광·풍력과의 비교도 적절하지 않으며, 금년도 총 재생에너지량은 44TWh 이상으로 예상됨
□ 녹색프리미엄이 해외에서 RE100 이행수단으로 인정되지 않는다는 주장도 사실과 다름
ㅇ 녹색프리미엄 제도는 도입시, 국제 RE100 운영당국(CDP)과의 협의를 거쳐 도입한 제도로, RE100 이행수단으로 공식 인정받고 있음
ㅇ 또한, 일본·미국 등 해외에서도 녹색요금제를 통한 RE100 이행비율이 상당수(약 24%*)에 달함
* 출처 : RE100 Annual Report 2021
□ 정부는 앞으로도 기업들이 보다 원활히 RE100을 이행할 수 있도록 재생에너지를 지속 확충*해 나갈 계획이며,
*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실무안 상 신재생에너지 비중) : (‘21) 7.5% → (’30) 21.5%
ㅇ 기업의 비용부담 완화 위한 세제·금리 등 인센티브 지원, 재생에너지 거래 및 투자활성화 위한 제도개선, 이행 컨설팅 및 정보제공 등을 다각도로 추진해 나갈 계획임
문의 : 산업통상자원부 재생에너지정책과(044-203-5361)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태양광 #태양광발전사업 #태양광지원사업 #건물지원사업 #축사지원사업 #축사태양광 #건물태양광 #건물지원태양광 # 금융지원사업 #일반전기태양광 #의무화태양광 #양주태양광 #포천태양광 #파주태양광 #가평태양광 #강원태양광 #서울태양광 #주택태양광 #농촌태양광 #참여기업 #태양광참여기업 #태양광임대사업 #주차장태양광 # 녹색인증 태양광 #태양광패널 #태양광인버터 #한화모듈 #현대모듈 #동양인버터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기사 내용]
□ 국내 재생에너지 비중 고작 0.02%
ㅇ 최근 RE100 가입한 삼성전자 ‘20년 전력사용량은 26.95TWh로 같은 해 국내 태양광·풍력 발전량 19.5TWh 보다 많아 재생에너지 부족
□ 녹색프리미엄은 해외에서 RE100 이행수단으로 인정되지 않음
[산업부 입장]
□ “국내 재생에너지 비중이 고작 0.02%”라는 보도는 사실관계가 다르며 오해의 소지가 있음
ㅇ ‘21년 국내 재생에너지 발전량 비중은 6.3%*임
* 한국전력 전력통계 기준(home.kepco.co.kr)
□ 삼성전자의 ’20년 전력사용량(26.95TWh)이 국내 태양광·풍력 발전량(19.5TWh) 보다 많다는 주장도 기본적인 사실관계가 다름
ㅇ 언급된 삼성전자 전력사용량 26.95TWh는 전세계 사업장 전력 사용량으로 추정되며, 국내 총 전력사용량(‘21)은 20TWh 미만임
ㅇ 한편, '21년 국내 태양광·풍력 발전량은 25TWh로 삼성전자의 국내 전력사용량을 초과하고 있음
ㅇ 또한, RE100은 태양광·풍력 외에도 수력·바이오 등을 모두 재생에너지원으로 인정하고 있어 태양광·풍력과의 비교도 적절하지 않으며, 금년도 총 재생에너지량은 44TWh 이상으로 예상됨
□ 녹색프리미엄이 해외에서 RE100 이행수단으로 인정되지 않는다는 주장도 사실과 다름
ㅇ 녹색프리미엄 제도는 도입시, 국제 RE100 운영당국(CDP)과의 협의를 거쳐 도입한 제도로, RE100 이행수단으로 공식 인정받고 있음
ㅇ 또한, 일본·미국 등 해외에서도 녹색요금제를 통한 RE100 이행비율이 상당수(약 24%*)에 달함
* 출처 : RE100 Annual Report 2021
□ 정부는 앞으로도 기업들이 보다 원활히 RE100을 이행할 수 있도록 재생에너지를 지속 확충*해 나갈 계획이며,
*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실무안 상 신재생에너지 비중) : (‘21) 7.5% → (’30) 21.5%
ㅇ 기업의 비용부담 완화 위한 세제·금리 등 인센티브 지원, 재생에너지 거래 및 투자활성화 위한 제도개선, 이행 컨설팅 및 정보제공 등을 다각도로 추진해 나갈 계획임
문의 : 산업통상자원부 재생에너지정책과(044-203-5361)
[출처] 대한민국 정책브리핑(www.korea.kr)
#태양광 #태양광발전사업 #태양광지원사업 #건물지원사업 #축사지원사업 #축사태양광 #건물태양광 #건물지원태양광 # 금융지원사업 #일반전기태양광 #의무화태양광 #양주태양광 #포천태양광 #파주태양광 #가평태양광 #강원태양광 #서울태양광 #주택태양광 #농촌태양광 #참여기업 #태양광참여기업 #태양광임대사업 #주차장태양광 # 녹색인증 태양광 #태양광패널 #태양광인버터 #한화모듈 #현대모듈 #동양인버터
전체 57
번호 | 제목 | 작성자 | 작성일 | 추천 | 조회 |
공지사항 |
홈페이지방문을 환영합니다.
admin
|
2022.08.13
|
추천 0
|
조회 150
|
admin | 2022.08.13 | 0 | 150 |
56 |
[안내] 2022년도 신재생에너지 설비 A/S전담업체 선정 결과 안내
admin
|
2023.01.06
|
추천 0
|
조회 21
|
admin | 2023.01.06 | 0 | 21 |
55 |
[안내] 신재생에너지 금융지원사업 2023년 1/4분기 대출금리 공지
admin
|
2023.01.06
|
추천 0
|
조회 22
|
admin | 2023.01.06 | 0 | 22 |
54 |
전력거래가격 상한에 관한 고시
admin
|
2023.01.06
|
추천 0
|
조회 19
|
admin | 2023.01.06 | 0 | 19 |
53 |
[공고] '23년 상반기 소형태양광 고정가격계약 매입 공고
admin
|
2023.01.06
|
추천 0
|
조회 22
|
admin | 2023.01.06 | 0 | 22 |
52 |
한화큐셀, EU 차세대 태양광 셀 양산화 프로젝트 참여
admin
|
2022.11.28
|
추천 0
|
조회 62
|
admin | 2022.11.28 | 0 | 62 |
51 |
RE100 시대에 맞는 RPS 개편 토론회
admin
|
2022.11.28
|
추천 0
|
조회 56
|
admin | 2022.11.28 | 0 | 56 |
50 |
태양광업계 "SMP 상한제 중재안 수용해 달라"
admin
|
2022.11.28
|
추천 0
|
조회 50
|
admin | 2022.11.28 | 0 | 50 |
49 |
전기설비 검사 및 점검의 방법·절차 고시 개정안 행정예고
admin
|
2022.11.22
|
추천 0
|
조회 61
|
admin | 2022.11.22 | 0 | 61 |
48 |
글로벌 태양광 시장, 고속 성장 중…지난해 신규 설치용량 174GW 기록
admin
|
2022.11.17
|
추천 0
|
조회 67
|
admin | 2022.11.17 | 0 | 67 |
47 |
SMP 상한제서 100kW 미만 태양광 빠진다…상한가격도 일부 인상
admin
|
2022.11.17
|
추천 0
|
조회 62
|
admin | 2022.11.17 | 0 | 62 |

공사분야&면허
- 한국에너지공단 참여기업[태양광분야]
- 한국신재생에너지협회 인적자원개발센터 협약기업
- 한국산업단지공단장 전동기 및 발전기 제조 공장 등록
- ISO9001/품질경영체제 인증
- ISO14001/환경경영체제 인증
- 전기공사업
- 한국전력공사 지중배전 전문회사
- 종합건설업
- 대한전문건설협회 회원
- 전문소방시설공사업
- 정보통신공사업
- 금속 구조물 창호, 온실 공사업
0
Projects
0
Employees
0
Clients
0
Awards